레이저프린팅의 원리
기술 발전과 가격하락에 따른 제품 대중화는 프린터산업에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집집마다 데스크톱PC 옆에 잉크젯프린터ㆍ복합기가 한 대씩 자리를 잡았듯이
레이저프린터 또한 대부분의 사무실에 한 대 이상씩 책상위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잉크젯과 함께 프린터산업을 양분하고 있는 레이저프린터는, 제품가격이 잉크젯보다 비싸지만
출력속도와 소모품 및 유지비용 면의 강점을 앞세워 출력량이 많은 기업시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레이저프린팅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잉크젯이 잉크방울을 뿜어내는 방식을 표현한 명칭인 것처럼,
레이저프린터는 종이 위에 표현할 그림을 구현하는데 레이저광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입니다.
레이저프린팅은 대전(Conditioning)-노광(Writing)-현상(Deveoloping)-전사(Transfer)-정착(Fusing)
등의 단계로 이뤄지며, 간단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출력작업이 시작되면, 먼저 차지(Charge)롤러로 핵심부품인 유기감광체(OPC)드럼 표면에
일정한 수준의 음(-)전하를 걸어줍니다(대전). 음전하를 띈 표면에 레이저광선으로 종이에
표현할 이미지를 그려주면, 레이저를 쬐인 곳만 주변과 반대로 양(+)전하를 띄게 됩니다(노광).
이제 현상롤러로 토너를 묻혀주면, 음전하를 띈 토너입자들은 레이저를 쬐어 양전하를 띈
이미지 그대로 OPC드럼 표면에 달라붙게 됩니다(현상).
이렇게 드럼 위에 만들어진 토너 이미지는 그대로 종이로 옮겨지고(전사),
이후 정착롤러로 열을 가해 이를 종이 위에 정착시키면 출력물이 완성됩니다(정착).
설명은 길지만 실제로 이같은 과정은 OPC드럼이 1회전 하는 사이에 순간적으로 이뤄집니다.
따라서 레이저프린팅는 잉크젯보다 훨씬 빠른 고속출력을 지원합니다.
컬러레이저프린팅의 경우 시안ㆍ마젠타ㆍ노랑ㆍ검정(CMYK) 4색 토너로 이같은 과정을
한번씩 거쳐 이뤄지게 됩니다.
다양한 레이저프린팅 기술들 - 위에 소개된 방식은 가장 보편적인 레이저프린팅기술로,
HPㆍ삼성전자ㆍ캐논 등이 이같은 기술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우리가 레이저프린터로 부르는 여러 제품들에는 보다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발광다이오드(LED)프린팅방식은 한 줄기 레이저광선을 거울ㆍ렌즈 등 광학계로 방향을
조절해 상을 구현하는 대신, 수많은 발광다이오드(LED)를 묶은 LED 어레이로 상을 구현하는 기술로,
오키데이터 레이저 제품군 등에 채택되고 있습니다.
후지제록스프린터스의 고급형 `페이저'제품군에 적용된 `솔리드 프린팅' 엔진은 미세입자 토너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레이저기술과는 달리 크레용과 같은 유성 고체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체잉크를 순간적으로 고온에서 녹여 잉크젯처럼 분사해 드럼 위에 그림을 그리고
이를 종이에 옮기는 방식으로, 기술 자체는 잉크젯에 가깝지만 제품가격ㆍ출력속도ㆍ운용비용 등
사용자 측면의 특성이 레이저와 유사해 `레이저급'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멀티패스와 싱글패스 -최근 레이저프린팅의 컬러화가 급물살을 타면서 싱글패스ㆍ멀티패스라는 용어도
자주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는 프린터 내부에서 4색 컬러프린팅을 처리하는 방식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멀티패스 제품의 경우 하나의 현상기 드럼으로 4색 토너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컬러출력속도가 흑백에 비해 현저히 떨어집니다. 반면 싱글패스 제품은 일렬로 늘어선 4개의 드럼이
4색 이미지구현을 각각 담당, 컬러출력도 흑백과 동일한 빠른 속도로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레이저프린터는 관련 기술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보급형 제품은 점점 더 작고 저렴하게,
고급형은 더욱 고속ㆍ고해상도로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과 업무에서 보다 많은 혜택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프린터·토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최초 무한잉크 탑재 프린터 - 엡손 (0) | 2011.03.01 |
---|---|
올해 컬러 레이저 프린터 100만대 '껑충' (0) | 2011.02.22 |
5개업체 대표 프린터 소개 (0) | 2010.08.15 |
한국HP, 2010년도 토너 신제품 발표 (0) | 2010.07.25 |
최소형 컬러레이저 프린터 출시 (0) | 2010.07.11 |